본문 바로가기

복지145

긴급복지 장제비지원 조건 및 신청 방법 긴급복지 장제비지원 제도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긴급복지 장제비지원이란, 긴급지원 가구의 위기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필요한 비용을 지원하는 것으로, 긴급지원(주지원)을 받은 가구 가운데 지원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한하여 지원이 가능합니다. 긴급복지 장제비지원은 긴급지원 대상자 가운데, 가구 구성원이 사망한 경우 사체의 검안이나 운반, 화장 또는 매장 기타 장제조치를 행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지원합니다. 긴급복지 장제비지원 긴급복지 장제비지원은 소득 기준은 기준 중위소득 75% 이하일 경우 선젖ㅇ하는데, 재산 기준은 아래와 같고 금융 재산 기준은 600만(단, 주거지원은 800만) 이하이어야 합니다. 대도시 : 24,100만 중소도시 : 15,200만 농어촌 : 13,000만 긴급복지 .. 2022. 2. 14.
한부모가족 아동양육비 지원 혜택 및 신청 방법 한부모가족 아동양육비 지원 제도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부모가족 아동양육비 지원은 한부모가족이나 조손가족이 가족의 기능을 유지하고 안정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아동 양육비를 지원하는 제도로, 아래를 통해 보다 자세하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한부모가족 아동양육비 지원은 지원 대상자로 결정된 저소득 한부모 가구의 만 18세 미만의 아동을 대상으로 신청하실 수 있으며, 추가 지원 조건은 아래와 같습니다. 추가 아동 양육비 : 조손가족 및 만 35세 이상 미혼 한부모가족의 만 5세 이하 자녀 / 만 25~34세 이하 청년 한부모가족의 만 18세 미만 자녀 학용품비 : 한부모가족(조손가족 포함)의 중학생 및 고등학생 자녀 생활보조금 : 한부모가족 복지시설에 입소한 저소득 한부모가족(조손가족 포.. 2022. 2. 14.
미혼모 및 미혼부 초기지원 혜택 및 신청 방법 미혼모 또는 미혼부 초기지원(권역별 미혼보부자 거점기관 운영) 제도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혼모 및 미혼부 초기지원은 미혼모나 미혼부가 아기를 스스로 양육하고자 할 경우 양육 초기 위기에 대처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원 제도입니다. 즉, 미혼모 및 미혼부 초기지원을 통해서 아동의 양육은 물론, 미혼모 또는 미혼부가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미혼모/부자 가구를 지원 대상으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미혼모/부 초기지원 미혼모 및 미혼부 초기지원은 출산비 및 아이의 입원비, 예방접종비 등 어머니와 아이의 건강을 위해 필요한 병원비를 지원합니다. 병원비는 의료급여 대상인 생계/의료/주거/교육 급여 수급자(차상위계층 포함)에게는 지원이 불가합니다. 단, 비급여 부분에 한해 치.. 2022. 2. 13.
청소년 한부모 자립지원 조건 및 신청 방법 청소년 한부모 자립지원 제도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소년 한부모 자립지원 제도란, 청소년 한부모가 더 나은 환경에서 자녀를 양육하고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로, 아래를 통해 보다 자세한 지원 조건이나 지원 혜택, 신청 방법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청소년 한부모 자립지원은 아동을 양육하는 부 또는 모가 만 24세 이하이고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인 한부모 가구를 대상으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참고로 한부모 가족증명서 발급 기준은 기준 중위소득 72% 이하(비급여)입니다. 청소년 한부모 자립지원 청소년 한부모 자립지원 대상자로, 신청한 경우에는 아동 양육비는 1인 기준 월 35만을 지원하고 검정고시 학습비는 1가구 기준 연 154만을 지원합니다. 또한 자립촉진 수당으로.. 2022. 2. 13.